윤석열 대통령 노동계 불법행위 근절 못하면 세금받을 자격없다.
컨텐츠 정보
- 22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윤석열 대통령 폭력과 협박·공갈이 난무하는 산업현장을 정상화 못하면 세금 받을 자격 없다고 생각한다고 하였다. 공무원이 기업인을 멀리만 해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환경을 적응하기 어렵다고 부당한 기득권 체제에 잘 대응해달라고 했다.
지난 7일 윤석열 대통령이 32개 부처·청 공무원 150여 명이 만나 나눈 대화 내용을 대통령실이 12일 ‘유튜브 쇼츠’ 형태로 추가 공개했다. 노동개혁, 기득권 혁파, 공정한 경쟁 등과 관련한 윤 대통령 언급이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노동개혁 중 가장 중요한 분야는 법캇라며 노동계 불법행위 근절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공무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불법행위 등과 관련해 “같은 근로자 간에도 임금이 몇 배나 차이가 나는 사회는 정상적인 사회가 아니다”라며 “더 공평하고 정의로운 시스템으로 바꿔나가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산업현장에 노조 간부의 자녀가 채용되고, 남은 자리로 채용장사를 하는 불법행위를 정부가 방치하면 민간 경영자가 아무것도 할 수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업현장에서 폭력과 협박에 터를 잡은 불법을 놔두면 그게 정부고, 국가냐”고 했다.
윤 대통령은 “기득권과 타협하면 바꿀 수 있는 것이 없다”며 “제가 폭력과 협박, 공갈이 난무하는 산업현장을 정상화하지 못하면 국민께 세금 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공무원들을 향해 “국민들께서 더욱 잘 살게 하려면 카르텔과 지대추구 행위를 규제하고 해체할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했다. 이어 “나라의 발전을 가로막는 부당한 기득권 체제에 잘 대처해달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한 공무원이 ‘1호 영업사원’을 자처한 대통령이 해외 순방에서 느낀 소회를 묻자 “우리나라가 반도체, 조선, 자동차 등 산업에서 세계적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대우를 받을 수 있었다”며, “기업은 결국 국력의 집합체”라고 했다. 그러면서 “공무원이 기업의 손익 계산을 볼 수 있어야 재정을 어떻게 투입할지 선택할 수 있다”며 기업인을 멀리만 해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적응하기 어렵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마약 단속과 관련해서는 “군·경찰·검찰·세관이 함께 많은 희생과 노력을 기울여 왔기에 최근까지 우리나라가 마약청정국이 될 수 있었다”며 “조직폭력배보다 더한 사람들이 마약 유통에 관여하기 때문에 희생정신이 없으면 마약사범 검거는 어렵다. 행정안전부 조직국, 기획재정부 예산실은 마약 수사하는 분들의 어려운 점을 잘 살펴 도와달라”고 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