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39%
V S
보수 진보
 

메뉴
   

61% 39%
V S
보수 진보

보수

최근글


새댓글


야들아 김대중 노무현의 3 1절 기념사도 친일사관 망언인가?

컨텐츠 정보

본문

野들과 좌익들은 언제는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잘도 찾더니 이젠 문재인·이재명 거짓정신만 찾고 있는가? 윤석열 대통령이 3·1절 기념사가 친일사관 망언이면, 그럼 김대중·노무현의 3·1절 기념사는 친일사관 망언이 아니었단 말인가 막걸리인가?

일본을 ‘협력 파트너’로 규정한 윤석열 대통령 3·1절 기념사를 두고 야권에서 비판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 3일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이 배출한 두 전직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소환하며 반박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이날 ‘3·1절 기념사 대통령 맞추기’라는 제목의 퀴즈 형식 카드뉴스를 공개했다. 대통령 세 사람의 3·1절 기념사 일부 대목을 보여주면서 발언한 대통령 이름은 A, B, C 같은 영문자로 나타냈다.

“한일 두 나라는 동북아시아의 미래를 함께 열어가야 할 공동운명체입니다. 서로 협력해서 평화정착과 공동번영의 길로 나아가지 않고서는 국민들의 안전과 행복을 보장할 수 없는 조건 위에 서 있습니다.” (A 대통령)

A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다. 2005년 3월 1일 제86주년 3·1절 행사에서 취임 후 세 번째 기념사에서 나온 발언이다. 노 전 대통령은 “과거사 문제가 제기될 때마다 교류와 협력의 관계가 다시 멈추고 양국 간 갈등이 고조되는 것이 미래를 위해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도 “우리의 일방적인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두 나라 관계 발전에는 일본 정부와 국민의 진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었다.

“일본은 과거의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로 변했습니다.” (B 대통령)

B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이다. 지난 1일 104주년 3·1절 기념식 기념사에서 나온 것이다. 윤 대통령은 강제징용이나 위안부 같은 과거사 현안이나 일본의 사죄나 반성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 윤 대통령은 “104년이 지난 오늘 우리는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던 우리의 과거를 되돌아봐야 한다”며 “변화하는 세계사의 흐름을 읽지 못하고 미래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다면 과거의 불행이 반복되게 될 것은 자명하다”고 했다.

“우리는 19세기에 우리 조상들이 범했던 과오를 되풀이해서는 안 됩니다. 당시 우리가 일본과 똑같이 개국하고 근대화를 했던들 우리는 일제 침략을 면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C 대통령)

C 대통령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다. 2000년 3월 1일 제81주년 3·1절 기념사에서 이렇게 말했다. 다만 이 시기는 한국이 IMF(국제통화기금) 외환 위기를 겪고 있을 때다. 인용된 김 전 대통령 기념사 다음 대목은 이렇다. “조상들의 한 때 잘못으로 후손들은 일제통치, 국토분단, 한국전쟁, 냉전대결 등 100년 이상 앙화(殃禍)를 입고 있다. 우리도 지금 잘못하면 또다시 후손들에게 그러한 죄 많은 유산을 물려주게 될 것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90 / 136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