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기독교 인구 비율은 통계에 따라 편차는 있지만 5%에서 10%선으로 잡히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전체의 기독교 인구 비율인 20%보다 확연히 낮은 숫자이다.
그렇다면 왜 제주도가 유독 기독교 인구 비율이 낮은 것일까?
그 이유는...
이 집단의 이름은 '서북청년회'
아마 4.3에 대한 뉴스나 다큐멘터리를 조금이라도 접하셨다면
이들의 이름을 많이 접해보았을 것이다.
서북청년단은 대부분 북한 지역에서 내려온 실향민들로
이들의 상당수가 기독교 신자였다.
소련은 해방 이후 기독교 신자들에 대해 강도 높은 탄압을 가해왔고
무상 몰수, 무상 분배를 위해 자본가로 분류된 이들을 대규모로 숙청하였다.
결국 이들은 공산당에 대한 강력한 증오를 안고 월남하였고,
한 교회가 이들을 모아 '서북청년회'라는 단체를 만들게 되는데...
반공과 기독교 신앙으로 무장한 이들은 초대 대통령 이승만과 미군이 정말 활용하기 좋은 인재였다.
그리고 '좌익이 날뛴다'고 판단하는 곳에 이들을 보내어 그곳의 좌익 색출 임무를 맡기곤 했다.
1948년...그들에게 또 다시 '좌익이 날뛴다'는 곳을 정리하라는 지령이 떨어지고,
만약 그들이 일반적인 전투처럼 남로당과의 전투만 진행했다면, 그저 평범한 반공단체 정도로 기록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제주도에서 벌인 일은, 과연 그들이 어떤 예수를 믿고 있었는지 의심가는 행동들뿐이었다.
"이승만과 미군의 후원 아래 제주 사태의 최일선에 서게 된 서북청년회는 군‧경 모두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다. 중산간마을인 애월면 광령리 주민이던 고치돈은 하귀리 개수동으로 소개했다가 그곳에서의 무차별 총살에 놀라 다시 제주읍 외도리로 소개했다. 고치돈은 외도리 민보단장이 처가 쪽 친척이라 그의 배경으로 양민증도 비교적 빨리 얻었고, 특공대에 편입돼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고 했다. 고치돈은 특공대 시절 목격했던 서북청년회 출신 경찰들의 잔혹했던 행동에 대해 이렇게 증언했다.
내가 외도지서 특공대 생활을 할 때 서북청년단 출신 경찰 이윤도(李允道)의 학살극은 도저히 잊을 수 없습니다. 그 날 지서에서는 소위 ‘도피자가족’을 지서로 끌고 가 모진 고문을 했습니다. 그들이 총살터로 끌려갈 적엔 이미 기진맥진해서 제대로 걷지도 못할 지경이 됐지요.
이윤도는 특공대원에게 그들을 찌르라고 강요하다가 스스로 칼을 꺼내더니 한 명씩 등을 찔렀습니다. 그들은 눈이 튀어나오며 꼬꾸라져 죽었습니다. 그때 약 80명이 희생됐는데 여자가 더 많았지요. 여자들 중에는 젖먹이 아기를 안고 있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이윤도는 젖먹이가 죽은 엄마 앞에서 바둥거리자 칼로 아기를 찔러 위로 치켜들며 위세를 보였습니다. 도평리 아기들이 그때 죽었지요. 그는 인간이 아니었습니다. 그 꼴을 보니 며칠간 밥도 못 먹었습니다."
- 제주 4.3사건 진상보고서, 271쪽.
그들은 민간인마저도 '동조자'로 몰아가며 대규모 학살을 자행했다.
심지어는 피해를 당한 집안의 여성들을 협박하여 억지로 결혼해서 데리고 사는 경우까지 벌어졌다.
결국 그들은 폭력을 피해 왔으면서 누군가를 향해 폭력을 휘두르는 가해자가 되어버린 것이다.
위에서 이들의 대다수가 '영락교회' 신도였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영락교회의 담임목사가 누구였냐면...
월드비전을 세우고 평양에서 폐교된 숭실대학교를 서울에 재건하는 데 기여한
한경직 목사였다.
그는 1992년, 템플턴상을 수상하는 자리에서 본인의 신사참배 사실을 참회한 바가 있다.
그렇다면, 4.3의 학살에 대해서도 그는 참회하지 않았을까?
안타깝게도, 지금 남아 있는 그의 생전 발언을 보면 아니었던 듯 하다.
그때 공산당이 많아서 지방도 혼란하지 않았갔시오. 그때 ‘서북청년회’라고 우리 영락교회 청년들이 중심되어 조직을 했시오. 그 청년들이 제주도 반란사건을 평정하기도 하고 그랬시오. 그러니까니 우리 영락교회 청년들이 미움도 많이 사게 됐지요.
- 김병희 편저, 『한경직 목사』, 규장문화사, 1982.
그리고 영락교회로 돌아간 서북청년단 중에는 목사, 장로, 집사가 다수 배출되었고,
당연히 그들이 4.3에 대해 이야기하는 일은 없었다.
한국 교회에서도 이 일은 잘 거론되지 않는다.
2018년, 그러니까 4.3사건 70년이 지난 때에서야, 진보 성향의 교단들이 모인 단체인 NCCK(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사과 성명을 발표한 것이 전부다.
'진보 성향의 교단'이 모였다는 것에서 짐작할 수 있겠지만, 사건의 중심에 있는 영락교회는 저 단체와 무관하다.
지금도 많은 교회들에서 제주도의 복음화율이 떨어진다며 제주도 선교를 위해 기도하고 인력을 파견한다.
그러나, 모두가 예수님의 말씀을 잊고 있는 듯하다.
"그러므로 네가 제단에 제물을 드리려고 하다가, 네 형제나 자매가 네게 어떤 원한을 품고 있다는 생각이 나거든,
너는 그 제물을 제단 앞에 놓아두고, 먼저 가서 네 형제나 자매와 화해하여라. 그런 다음에 돌아와서 제물을 드려라."
- 마태복음 5장 24-25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