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39%
V S
보수 진보
 

메뉴
   

61% 39%
V S
보수 진보

유머/이슈

대만에서 거론되는 최근 한국 사회 혼란의 원인, "한국병"

컨텐츠 정보

본문

재벌 독점, 청년 저임금…"한국병", 대만은 여기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한국은 항상 대만의 가장 존경받는 상대였습니다. 경제적으로 두 나라는 산업적으로 비슷한 발전 궤도를 가지고 있으며, 두 나라는 종종 경쟁적인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대만과 한국의 경제, 무역, 정치, 사회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된 증상을 겪고 있습니다. 
 
최근 각종 이유로 축적된 한국 국민들의 분노는 윤석열의 계엄령으로 인해 완전히 폭발했습니다. 한국이 직면한 딜레마는 자세히 보면 대만이 배울 점과 고민할 점이 많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30대 재벌의 매출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77%를 차지했습니다. 2003년부터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 대상이 됐습니다. 2010년부터 오랫동안 약 25%를 유지해 왔고, 이는 2위 수출 상대국인 미국의 13%보다 훨씬 높습니다.
 
지난해 한국이 중국과의 무역에서 180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국이 중국과의 무역에서 '돈을 잃었다'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특히 그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 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많은 기관에서는 FTA가 체결되면 한국의 대중국 수출이 54억 달러를 절감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한국의 경제학과 교수는 가전, 패널, 철강, 자동차, 석유화학 등, 한국이 본래의 장점을 갖고 있는 많은 산업에서 “모든 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솔직하게 말했습니다.
 
재벌하면 삼성을 빼놓을 수 없다. 오랫동안 TSMC의 경쟁자였던 삼성전자는 1년 만에 시가총액이 25%나 빠졌다. 현재 규모는 NT$8조2000억으로 TSMC의 3분의 1도 안 되는 수준입니다.
 
삼성을 무너뜨린 핵심 요인으로 따지면 여전히 중국과 떼어놓을 수 없습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중국에는 휴대폰, 패널, 메모리 등 삼성과 정면으로 경쟁하는 산업이 많습니다. 반면 OEM에 능한 대만은 휴대폰 브랜드가 없어 패널과 메모리 업계가 치열한 경쟁과 합병, 축소에 직면한 지 10여년이 넘었지만 지금까지는 큰 타격을 입지 않았습니다.
 
재벌이 국가 경제를 장악하면 대기업이 성장할 수 없게 되고, 이는 자연스럽게 한국의 경쟁력을 뿌리부터 약화시킵니다.
 
또 다른 경제학과 교수는 “취업난이 가장 큰 문제”라며 “현재 대졸자 중 정규직 일자리를 구할 수 있는 비율은 10~20% 정도다. 저임금 임시직을 받아들이는 것은 미래에 대한 완전한 절망과 정치 체제에 대한 신뢰의 급격한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한국에서는 기업의 99%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직원의 80% 이상을 고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소규모 회사는 종종 재벌의 그늘에 있기 때문에 영업 이익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직원들에게 넉넉한 급여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신입사원의 초임은 대기업 회사원의 절반에 불과합니다. 중소기업 고용주의 대다수는 장기적인 인력 부족에 직면해 있습니다. 감당하기 힘든 집값은 한국 청년들의 마음을 찌르는 또 하나의 가시입니다.
 
국립성치대학교 외교부 겸임 석좌교수인 류더하이(Liu Dehai)는, 대만이 TSMC를 보유하고 AI 물결을 따라잡았지만, 경제가 특정 산업에 지나치게 집중되거나 소수 기업에 집중되는 것을 피하고 산업 고도화를 해야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다른 학자는 "한국이 중국으로 인한 "한국병"에 걸렸지만, 대만의 대중국 수출의존도는 30%에 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경제·통상 정책에 있어서 근시안적이지 않고, 특정 시장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는 것, 내정에서 극단적인 정책을 채택하지 않고 항상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한국의 계엄령 폭풍으로부터 대만에게 가장 큰 영감이 될 것입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27,166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