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상노군 노자가 동. 이족에게 미래. 를 부탁한다는 도덕경 내용
컨텐츠 정보
- 13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2006.12.05) - 필자: 유전
도덕경 14장
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 搏之不得, 名曰微 보려해도 볼 수 없으니 이름하여 이(夷)라한다. 들으려해도 들리지 않으니 이름하여? 희(希)라한다. 손에 쥐려해도 얻지 못. 하니 이름하여 미(微)라한다.
此三者, 不可致詰, 故混而爲一 세가지를 발자국 따라 이어라. 따지고자(詰 따질 힐) 이르(詰 이를 치)는 것.이 아니니 고로 합쳐서 하나로(爲一)하라.?
(위 세 가지를 합치라고 했으니 그 해당 자구는 이희미(夷希微)인데 그것.을 하나의 의미로 풀면 "동. 방의 명사수 이(夷)를 바라보며(希) 숨겨(微)놓는다"가 되겠다.)
其上不? 其下不昧, 繩繩不可名 (? 부르짖을 교,口+鳥/木 새가 나무에 앉아 우는 모습. ) 위로 부르짖는것.이(솟대. ) 아니며 아래의 어둠도(흑점) 아니니 줄줄이 묶어 매달아 놓은 끈으로도 이름(표시) 할 수가 없다.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 無物之象. 是謂惚恍 과거. 로 다시 돌아간 물건도 아니요 이것.은 문서(편지)없는(남겨짐이 없는) 문서이니라. 물질(물건)로 된것.이 없는 형상이니 홀연한 마음속의 빛이라 할 수 있다.
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其後 우러러 맞이하려거든 머리만 있다고 단정하지 말며 따르려거든(발) 뒷모습. 만으로 지레 짐작 하지 말라.
執古之道, 以御今之有, 能知古始, 是謂道紀 옛우상을 잡아들. 이는 방식의 도였으며 이로써 공손하게끔 거느리고 있다. 옛날 처음 이룬것.을 알게 되었나니 이와 같이 도의 실마리로 삼으라.
위의 해석은 다른 사람. 들과의 이해와는 상당히 다르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2300년. 전 시대. 사람. 이 남겨 놓은 글이며 한자를 사용하였다고 해서 노자가 중국. 인이라는 단서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한국. 의 옛 땅에는 이두식 표기법이 있었으며 그 이전에는 또 그 이전 방식으로의 표기가 있었을 것.입니다.
특히 윗글에서 차. 삼자(此三者), 세가지를 발자국처럼 따라가라 라고 말한 이희미(夷希微)의 뜻인 동. 방의 활든 이를 바라보며 숨겨 놓는다 라는 의미를 생각 해 보면 노자의 본명으로 알려진 "李 耳" 라는 사람. 은 한국. 땅 태생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또한 위 도덕경 14장의 해석과 같이 솟대. 와 태양숭배(흑점) 삼족오 성황당등 매우 많은 종교 문화. 가 한국. 고대. 문화. 와 흡사 합니다.
이글은 특히 땅의 역. 사점 관점으로 보면 많은 의미를 이해 할 수 있으나 다른 글에서 밝힌 바와 같이 도덕경의 해석은 어느 한가지로만 이해하는 무리수로는 전체적 해석을 할 수 없는 난이도가 존재합니다.
식자들은 이러한 해석을 어리석음으로 치부하다가 뒷마무리 해석은 아에 포기하는 엉터리 해석으로 결론을 맺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도저히 완역. 을 할 수 없는 경전입니다.
지금 나온 모든 해석을 한 식자들에게 도덕적 양심을 걸고 묻고 싶습니다. 앞의 해석과 뒤의 해석의 차이. 가 오류로 작용하여 전 영역. 에 걸쳐 드러납니다. 스스로 오류임을 알면서도 마무리 지(을수 밖에 없)었다는 것.을 부인 할 작자는 없으리라 봅니다. 전부 그러합니다.
그러나 진정 도덕경을 오랜 기간 연구 해 본 자이거나 도덕경 전체 내용을 여러 차. 례 읽어 전체적 흐름을 알고 있는 자라면 아마 새로운 차. 원에서 내 해석이 다시 이해되리라 생각합니다.
한가지 이글을 쓰면서 걱정이 되는 사항이 있다면 도덕경의 해석에는 많은 인내와 언어적 혼란을 수 없이 겪은 후에 라야 가까이 할 수 있는 책. 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혼란을 잘. 못. 이겨내거나 상식 밖의 일에 집착한다면 자기 정체. 성을 잃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한 일이 생기거나 혹여 번뇌라도 생긴다 싶은 사람. 은 각자의 종교에 따라 의지하거나 자신에 대. 한 믿음으로 극복해야 합니다. 이것.은 도덕경을 스스로 해석 하고자 하는 자에 대. 한 경고이며 극복 과제입니다.
(2006.12.06)
도덕경 12장 五色令人目盲, 五音令人耳聾, 五味令人口爽 馳騁?獵令 人心發狂? 難得之貨令人行妨 是以聖人爲腹不爲目, 故去彼取此
오색 방울빛은 사람. 의 눈을 멀게하고 (五色令人目盲) 오음 방울소리는 사람. 의 귀를 먹게하고 (五音令人耳聾) 오미 방울맛은(식탐) 사람. 의 입을 상하게 하고 (五味令人口爽)
달리고 달리는 모든 수렵신호(방울)는 사람. 의 마음을 발광케 하고 얻기 힘든 재물로 방울을 달면 사람. 의 행동. 에 방해가 된다. (馳騁?獵令 人心發狂? 難得之貨令人行妨)
그러므로 성인. 은 몸을 위하되 보기 좋은것.만 찾지 않으니 고로 껍질(형체)은 지나가게 하고 발자국(흔적,경험)을 취한다. (是以聖人爲腹不爲目, 故去彼取此)
방울은 사람. 의 신호가 아닌 기물을 이용한 신호체계를 뜻하며 특히 짐승(에일리언 포함)들은 맛을 통한 신호체계 또한 많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