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주령 당시 금주법을 피해 간 위스키
컨텐츠 정보
- 15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위스키를 하수도. 에 버리는 모습.
1919년. 부터 1923년. 에 이르기까지 미국. 은
대. 금주령 시대. 를 지나게 된다. 금주령에 대. 해 다양한
이유와 원인이 있지만, 버번 위스키 증류소들과
제조 판. 매업자들은 직격탄을 맞게 된다.
금주령 실시 후 의료용 알코올을 제외한
미국. 내 위스키 판. 매, 생산, 운반 및 수출입이
전면 중단되고 위스키 업체들은 새로운
국면에 맞이 하게 된다
???????
강한 자가 살아 남는게 아니라 살아 남는 놈이
강한게 아니던가. 역. 사에 자취를 남기는 사람. 은
뭐가 달라도 다르다 했던가.
당시 라프로익은 미국. 에 수출하면서 검역. 원들이
라프로익의 수입을 막는다.
???????
???????
라프로익 잠깐만 이거 위스키... 술 아니여
내가 빙다리 핫바지로 보이냐
???????
천하의 미국. 이 왜이리 혓바닥이 길어
이거 의료용 알콜이여
냄새 맡아봐 스꺄
???????
약냄새(피트향) 오져따...
???????
그렇게 라프로익은 특유의 소화제 냄새로
수입 검역. 원들의 검사를 통과하여 의료용 알콜로
인정받아 미국. 의 주당들이 병원에서 처방전을 끊어
위스키를 처방받아 홀짝거리며 주당들의 마음과
간을 달래줬다고 한다.
???????
피트향을 좋아한다면 이번 해에 라프로익은 어떨까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