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39%
V S
보수 진보
 

메뉴
   

61% 39%
V S
보수 진보

유머/이슈

최근글


새댓글


흑어공주 vs 알라딘 북미 흥행성적 비교

컨텐츠 정보

본문


 

 

<인어공주 7일차. 까지 성적>

 

 

 


 

 

<알라딘 7일차. 까지 성적>

 

 

 

 

 

현재. 까지 공개. 된 데이터를 보면

 

두 영화. 는 디즈니 실사영화. 라는 점 외에도 

 

메모리얼데이 끼고 개봉한 일정부터 시작. 해서

7일차. 까지의 수익까지 굉장히 비슷한 모습.  을 보여주고 있음

 

 

 

 

 

 

다만 차이. 점이라면

 

 

 

 

 

 


 

 

 

<인어공주 총 수익 비율>

 

 

 

 


 

<알라딘 총 수익 비율>

 

 

 

 

 

 

 

비교적 최근에 개봉했던 알라딘이나 라이온킹, 미녀와야수 같은 

디즈니 실사영화. 의 총 수익 비율을 보면

 

인터내셔널 수익이 낮으면 60, 높으면 70까지 기록할 정도로

인터내셔널 수익이 훨씬 높은 비중을 차. 지함

 

 

 

 

 

 

근데 흑어공주는 이와는 정반대. 로 인터내셔널에서 벌어들이는 수익보다

북미에서 벌어들이는 수익이 훨씬 큰 특이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음

 

결국 해외관람객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는건데

이 비율대. 로 알라딘과 같은 북미 수익을 기록한다고 하면

 

대. 략 5억.  달러의 성적이 예상됨

 

 

 

 

 

 

다만 이것.도 굉장히 낙관적으로 바라봤을때 얘기인게

 

알라딘은 입소문을 타고 장기흥행에 성공한 영화. 이고

흑어공주는 관람객들 사이에서도 혹평이 잇따르는 영화. 라 장기흥행이 쉽지 않은 영화. 임

 

(실제로 알라딘은 2주차.  주말 3일간 매일 천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거뒀고, 

북미에서만 무려 31주, 222일간 상영했었음)

 

 

 

 

 

 

결국 북미 수익에 따라 최종 수익이 결정될거라고 보이는데

 

이번 주말에 알라딘처럼 하루. 에 천만달러 이상씩 수익을 거두고 

장기흥행에 성공한다면 총 5억.  달러

 

이번 주말에 반등을 하지 못. 한다면 

대. 략 3억.  5천 ~ 4억.  달러 정도의 수익이 날거라고 봄

 

 

 

 

 

현재. 까지 알려진 인어공주의 제작비는 2억.  5천만 달러에

마케팅비는 정확하지 않지만 여러 매체에 따르면 1억.  달러 이상으로 추정

 

 

 

 

이에 따르면 손익분기점은 최소 7억.  달러는 넘겨야 하는데

 

글로벌에서 완전히 박아버려서 손익분기는 고사하고

아예 적자가 날 가능성도 배제 못. 하는 상황. 임

 

 

 

 

 

 

 

 

요약

 

 

1. 원래 디즈니 실사영화. 는 전세계적으로 사랑받는 IP 기반이라

글로벌 수익이 북미 수익의 2배 가량

 

 

 

2. 근데 인어공주는 글로벌 수익 보다 북미 수익이 2배가 많음

(그렇다고 북미 수익이 특출나지도 않음)

 

 

 

3. 현재. 까지는 북미 수익이 알라딘과 비슷하긴 한데

해외에서 완전히 폭망해버려서 북미 수익으로 다 메꿔야함

 

 

 

4. 알라딘처럼 오랫동. 안.  꾸준히 봐준다고 해도 해외에서 완전히 폭망해서

북미수익이 알라딘처럼 나온다고 해도 손익분기 달성 가능성은 없음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95,074 / 8215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