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39%
V S
보수 진보
 

메뉴
   

61% 39%
V S
보수 진보

유머/이슈

최근글


새댓글


F22 vs F35 스텔스 정리해줌

컨텐츠 정보

본문

https://www.dogdrip.net/dogdrip/436782206?comment_srl=436788723#comment_436788723

저격글썼길래 설명해준다

 

댓글 존나 곱창난게 네이버 블로그 글 vs 록히드마운틴 공식 피셜이라

에이 공식피셜이니까 당연히 그게맞겠지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록히드마운틴은 F35 판매를위해 그냥 광고자료처럼 올린거임

내가 보라는 블로그 자료도 RCS값에 대헤서 자세히 설명하고있음


 F35의 rcs값은 판매하기에는 좋게 전면 rcs값,
다시말해 선전용으로 큰 의미가 없는 수치는 F22와 동일하거나 더 좋다는 말도 있다.
근데 정작 중요한 하부, 후면 rcs값은 높다는 이야기가 많다.

한마디로 전면의 rcs값보다 하부나 후면의 rcs값은 f22보다 높다

내가말했던 전방만스텔스라고했던 이유가 그거임

f22같은경우는 전후방전부 스텔스rsc값이 낮음

 

 

1. 스텔스
스텔스는 레이더에 '덜' 걸리는거지 안걸리는게 아니다.
스텔스기의 조건인 RCS값은,
RCS는 쉽게 말해서 Radar cross section의 약자로 레이더 단면적을 말한다. 즉 레이더 화면상에 나오는 크기를 이야기한다.
보통 제곱미터로 표시하는데, 스텔스기들은 0.01이하의 RCS값을 가지면 대체적으로 스텔스기로 인정해 주는 분위기이다.

 

 

 

자 여기서, 레이더는 2차원적인 물건이라는 사실을 인지해야한다.
평면만 보는거지 육면 전체를 보는게 아니다. 다시말해서,
같은 기체라도 앞에서 볼때 아래서 볼때 위에서 볼때 옆에서 볼때 뒤에서 볼때 이 RCS값이 달라진다.


자 이 내용을 머리속에 넣어둔 채로 다음 내용으로 넘어가자.


스텔스 전투기는 전투기끼리 싸우는 제공기로 컨셉을 잡고 있다.
그러다 보니 전투기들은 전투할때보면 서로 마주보고 미사일쏘고 달라붙어서 뱅글뱅글 돌면서 서로 총/미사일 잘 하는게 일이다.


그러며 어떤 RCS가 제일 중요할까?
당연하게 앞과 뒤의 RCS값이 제일 중요하다. 그리고 사실 전면 RCS값 줄이기는 아주 쉽다.
디자인만 잘해도 전면 RCS값은 거의 대부분 저 0.01 에 근사한 수치를 만들 수 있다.


근데 문제는 바로 하부와 후면 RCS값을 줄이는거다.
이 하부와 후면 RCS값 마져도 0.01 이하로 만든다면 명부상실한 스텔스기로 인정을 받을수 있다.


RCS개념에 대해선 충분히 이해 했을테니 다시 F22의 스텔스 성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자.
F22는 사실 지금 현존하는 가장 뛰어난 스텔스 전투기이다.
그럼 이 뛰어난 안보이는 전투기를 가지고 왜 미국은 세계 재패를 안하는걸까?


자 여기에 함정이 있다. RCS값이 0 인 물체는 만들 수가 없다. 이론상으로라도 가능한지 잘 모르겠다.
0에 극한으로 수렴하는 물체는 만들수 있겠지만 딱 0인 물체는 만들수가 없다.
 

그럼 아무리 작은 값이라도 실존하는 값인 이상 탐지가 가능하지 않겠는가?! 라는 의문에.
정답은 YES AND NO 둘다 가능해. 


첫번째 가능한 이유는 사실 지금 스텔스라고 하는 스텔스기들의 대부분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레이더에만 안걸린다는 이야기이다.
다시말해 상대 전투기 레이더의 대역에만 안걸리면 되기때문에 그걸 전제로 만들었다.
모든 대역의 레이더에 대해 무적이 되려면 가시광선, 다시말해 인간눈에도 안보여야되고, 열도 없어서 적외선에도 안걸려야되는데 이건 모두 알다시피 말도 안되는 이야기란 말이다.(근데 열상에 안보이는건 B2가 해냈다) 


 

그러다 보니 F22도 멀티밴드 레이더,
다시말해 서로 다른 주파수의 레이더를 쏴서 둘의 차이점을 계산해서 적의 위치를 짐작하는 레이더에는 걸린다는 이야기다. 


그걸 반증하듯 적국인 러시아에서는 지금 현용기인 SU35에 대형 레이더를 달았다. 이걸로 F22를 잡아보겠다는 심산이다.
러시아가 꼴통이 아닌이상 저런 대형 레이더를 개조를 해서라도 달았는데는 이유가 있다고 보고, 대형 멀티밴드 레이더에는 F22가 탐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인정받고 있다. 

 

 

F35와 F22의 가장큰 차이점은 바로 사이즈다.


다시 RCS이야기로 돌아와서, 작으면 스탤스 성능이 우수한 RCS값은 작은비행기가 작을까? 큰 비행기가 작을까?
당연히 답은 작은 비행기가 RCS값도 작다는거다.
하지만 지금까지 추정한 바로는 F35의 RCS값이 F22보다도 크다는 이야긴데. 도대체 왜 그럴까?
이건 일부러 그렇게 만들어서다. 미국은 절대 자국에 위협이 될만한걸 해외에 허락하지 않는다. 아무리 동맹국일지라도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F35의 rcs값은 판매하기에는 좋게 전면 rcs값,
다시말해 선전용으로 큰 의미가 없는 수치는 F22와 동일하거나 더 좋다는 말도 있다.
근데 정작 중요한 하부, 후면 rcs값은 높다는 이야기가 많다.


RCS값의 추정은 얼마나 전투기의 표면이 울퉁불퉁한가를 전재로 하고있어.
날카로운 면과 울퉁불퉁한게 많으면 많을수록 RCS값은 떨어진다.
가장 쉽게 뒷부분을 보면 F22는 꼬리날개의 끝부분도 깎여있고 등짝도 평평하지만,
F35의 경우에는 형태가 F22와 F16사이의 미묘한 어딘가를 달리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F35의 RCS값은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F22에 비해 크다고 판단하는 계기가 된다.


결론, F22가 스텔스 성이 더 좋다. F35가 스텔스 성능이 불리한 이유는 일부러 그렇게 만들어서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94,981 / 8181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