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마저 까잡수는 위대한 페미니즘이여!
컨텐츠 정보
- 2,33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역사학자이자 과학철학자인 노레타 코트지는 1995년 <스켑티컬 인콰이어러>에 쓴 논문에서 여성 교육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변태적 페미니즘의 위험성을 정확하게 지적한다.
젊은 여성들에게 과학, 논리학, 수학과 같은 과목에 대비하도록 권고하는 대신, 지금의 여성학 학도들은 논리가 지배의 도구라는 슬로건 교육을 받는다. 과학적 탐구의 기본 과정과 방법은 '여성적 앎의 방식'과 맞지 않다는 이유로 성차별주의적인 것이 되어 버렸다. 같은 제목의 책으로 상까지 받은 이 저자들은 인터뷰를 통해 대부분의 여성이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열정적인 거부감'이 특징인 '주관적 앎'을 추구하는 부류로 드러났다고 한다. 이들 '주관적' 여성은 논리와 분석, 추상의 방법을 '남성이 소유하는 외부 영역'으로 간주하고 '직관을 진실에 이르는 더 안전하고 결실 있는 접근법으로 평가'한다.
(중략)
1997년 피비 엘즈워스라는 사회심리학자가 감정에 관한 학제적 세미나에서 겪은 난감함을 보고한다. 과도한 비판에 일부러 포용적인 자세를 견지하던 그녀는 자신도 모르게 '실험'이라는 단어를 언급했다. 그 순간 "번개같이 손들이 올라왔다. 사람들(페미니스트들)은 과학적 실험적 방법론이 빅토리아 시대 백인 남성의 발명품이라고 지적했다." 거의 초인적인 노력으로 사태를 수습하면서도 엘즈워스는 백인 남성이 세계에 많은 파괴적인 영향을 끼쳤지만, 적어도 그들의 노력이 DNA를 발견하지 않았냐고 했다. 이는 당장 더 심한(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DNA를 믿는다는 겁니까?"
이성과 논리는 남성의 지배 도구가 아니다.
'차이 페미니스트difference feminist'의 주장에는 여성은 추상적 선형 사고를 하지 않고, 비판이나 치밀한 논쟁으로 문제를 대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도덕 원칙으로부터 논증하지 않는다는 등의 여러 가지 모독이 포함된다.
- 스티븐 핑커 저 -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1997)> 김한영 역 2007 동녘사이언스
두번째 글
페미니스트적인 나쁜 과학의 최악의 사례는 아마도 뉴턴의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를 '강간 지침서'로 묘사한 샌드라 하딩일 것이다. 가장 충격적인 것은 주제넘은 억측이 아니라 그 편협한 미국적 쇼비니즘이다. 어떻게 감히 당시 미국 정치에 대한 자신의 좁은 식견을 불변의 우주 법칙과 역대 최고의 사상가 중 한 명(우연히 남성이고 다소 신경질적이었던)에게 적용하려 한단 말인가? 폴 그로스와 노먼 레빗은 그들의 훌륭한 저서 <더 높은 미신>(1994)에서 이를 포함한 유사 사례를 다루면서 철학자 마르가리타 레빈에게 맺음말을 맡겼다.
......많은 페미니스트들의 학문적인 글은 다른 페미니스트에 대한 과장된 칭찬으로 가득 차 있다. A의 '명석한 분석'은 B가 이룩한 '혁명적 발전'과 C의 '용기 있는 실행'을 잘 보완한다는 식이다. 가장 거슬리는 것은 서로를 지나치게 칭송하려는 페미니스트들의 경향이다. 하딩은 자화자찬의 어조로 자신의 글을 끝맺고 있다. "우리의 경험을 이론화하기 시작하면서...... 우리는 그 임무가 어렵지만 신날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확신하건대 우리가 여성의 사회적 경험에 담긴 의미를 찾는 과정에서 과학과 이론화 그 자체를 재발명하리라고는 꿈에도 상상하지 못했다." 이런 과대망상증은 뉴턴이나 다윈의 시대에는 약간의 불편함을 끼쳤을지도 모른다. 지금은 그저 창피할 뿐이다.
- 리처드 도킨스 저 - <무지개를 풀며> 최재천 김산하 역 (바다출판사) p.288 - 291
세번째 글
(1)
소칼과 브리크몽은 페미니스트 '철학자' 뤼스 이리가레이에게도 한 장을 통째로 할애하고 있다. 뉴턴의 『프린키피아』(일종의 '강간 안내서')를 페미니스트 입장에서 서술한 유명한 글을 상기시키는 한 문단에서, 뤼스 이리가레이는 E=mc²이 '성욕을 담은 방정식'이라고 주장한다. 이유는? 그것이 '우리에게 지극히 필요한 다른 속도들보다 빛의 속도에 <특권을 주기>(내가 막 배운 단어임을 강조하기 위해 표시를 했다)' 때문이다. 이리가레이의 유체역학에 관한 논문은 우리가 다루고 있는 그 학파의 전형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알다시피, 유체는 부당하게 무시되어왔다. '남성 물리학'에서는 단단한 고체가 특권을 누린다. (...) 그녀의 미국 해석가인 캐서린 헤일스는 이리가레이의 사상을 (비교적) 명쾌한 언어로 다시 쓰는 실수를 저질렀다. 간혹 우리는 방해받지 않고 임금님을 훑어본다. 그렇다, 그는 옷을 입고 있지 않다.
(중략)
고체역학이 유체역학보다 특권적 지위를 누리는 이유, 예컨대 과학이 난류를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이유는 사람들이 유체를 여성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리가레이의 해석이다. (...) 남자는 딱딱해지고 돌출된 성기를 가진 반면, 여자는 달거리와 질액이 스며 나오는 구멍을 가지고 있다......이런 관점에서 볼 때 과학이 훌륭한 난류의 모델을 세우는 데 실패한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난류의 문제는 절대로 해결되지 않는다. 유체(그리고 여자)라는 것은 불투명한 찌끄러기가 반드시 남아 있어야만 하는 그런 관념으로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굳이 물리학자가 되지 않아도 이런 주장이 터무니없다는 것을 알 수 있겠지만(이제 너무나 익숙한 것이 되었다), 난류가 왜 어려운 문제인지 진정한 이유를 소칼과 브리크몽이 옆에서 말해준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나비어-스토크스 방정식(공기의 운동, 소용돌이, 액체의 유동 등 여러 가지 유체들의 운동 법칙을 해석하기 위해 만든 방정식. 이 방정식을 만든 나비어와 스토크스조차 방정식의 해를 구하지 못했다는 수학의 미스터리 중 하나-옮긴이)은 풀기가 쉽지 않다].
- 리처드 도킨스 저 - <악마의 사도(2003)> 이한음 역 2013 (바다출판사) pp.100 - 101
(2)
소칼과 브리크몽이 말했듯이 보드릐야르의 텍스트는 너무나 "난센스 수준의 점입가경"이기 때문에 더 이상 인용하지 않으련다.
(중략)
현재 인문학에서 '진보적인' 사유로 통하고 있는 위선적이고 몽매하고 횡설수설로 가득한 자기들끼리의 전문 용어들 속을 해치며 나아가느라 많은 시간을 보낸 사람이라면 누구나 조만간 알게 마련이었다.
그다지 비밀도 아닌 암호 같은 말들(해석학, 경계를 넘는, 라캉식, 헤게모니 등등 무수히 많다)로 무장한 일부 영리한 학자들이 완전한 사이비 논문을 세상 돌아가는 상황을 빠르게 판단하는 학술지에 싣곤 한다는 것을 말이다....(후략)
- 리처드 도킨스 저 - <악마의 사도(2003)> 이한음 역 2013 (바다출판사) pp.102 - 104
사상 자체는 괜찮다, 외국 페미는 다르다, 국내 페미가 변질된거다
이딴 쌉소리는 하지 말아주세요
이성과 논리는 남성의 지배 도구가 아니다.
이런 생각하는 년들을 이해해 줄 필요가 있을까요?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