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39%
V S
보수 진보
 

메뉴
   

61% 39%
V S
보수 진보

유머/이슈

타이타닉 생존자들의 PTSD 

컨텐츠 정보

본문



프랭크 존 윌리엄 골드스미스 Jr (Frank John William Goldsmith Jr.)

1902-1982

3등실 승객

 

사고에서 아버지를 잃었는데 이후 디트로이트의 야구 경기장 근처로 이사를 갔는데 성인이 되어서도 야구 경기를 싫어해서 자식들이 졸라도 가지 못했다고 함.

 

홈런을 칠때마다 나오는 관객들의 환호 소리에서 그날 차가운 바닷물에 빠져서 살려달라고 아우성치는 사람들의 비명 소리가 들렸기 때문...

 

 

잭 테이어 (Jack Thayer)

1984-1945

1등실 승객

 

침몰 당시 배에서 뛰어내렸다가 뒤집어진 구명보트에 매달려 살아남았으며 아버지를 잃었음.

 

아들이 태평양 전쟁에서 공군으로 싸우다 전사하고 아내도 하필 침몰날에 죽자 스스로 목을 그어 자살

 



루실 카터 (Lucile Stewart Carter Brooke)

1875-1934

1등실 승객

 

가족들에게 사건 얘기는 꺼내지도 않았으며 물을 유독 싫어했다고 함.




클라라와 헨리 프라우엔탈 부부(Clara and Henry Frauenthal)


헨리는 당뇨병에 걸린 후 자살, 클라라는 우울증에 걸려 정신병원에 감

 

 

애니 로빈슨 (Annie Robinson)

1865-1914

1등실 승무원

 

대서양 횡단 여객선에 다시 탔을때 엄청난 불안에 시달리다가 뱃고동 소리를 듣고 남들 시선이 없는 사이 바다에 투신자살해서 시체도 못찾음.

 

 

프레드릭 플리트 (Frederick Fleet)

1887-1965

견시

 

빙산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보고한 사람으로 구명보트에 배치되어 생존.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사고 이후 평생 빙산을 일찍 발견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시달림.

 

부인이 죽고 처남에게 집에서 쫒겨나자 목을 메달고 자살함.

 



레지널드 리 (Reginald Robinson Lee)

1870-1913

 

플리트와 함께 망을 보던 견시

 

사고 1년만에 폐렴으로 죽었는데 사고를 잊기 위한 과음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함.

 

 

로버트 히친스 (Robert Hitchens)

1882-1940

조타수

 

빙산 충돌 당시 키를 맡고 있었던 조타수로 보트를 현장으로 돌리는 것을 거부한 것 때문에 욕을 먹음

 

알코올 중독에 걸렸으며 살인미수로 감옥에도 가다가 심장마비로 사망.

 

 

브루스 이스메이 (Bruce J. Ismay)

1862-1937

타이타닉호의 해운사 화이트 스타라인의 회장

 

마지막 구명보트들 중 하나에 몰래 뛰어내려 살아남았음. 사고 책임에는 무죄선고를 받았지만 최고 책임자 중 하나가 살아남았다는 것 때문에 사퇴하고 사고에서 죽은 선장, 조선기사와 달리 평생 겁쟁이 취급 받으며 조용히 살다가 폐인으로 죽음.



 

알렉산더 리틀존 (Alexande James Littlejohn)

1872-1949

식당 승무원

 

사건의 영향으로 6개월만에 머리가 하얗게 변하며 순식간에 노화함





이 외에도 상당수가 충격이나 죄책감에 시달렸다고 하며(남들 대신 살았다거나 구조하러 돌아오지 못한 것 등) 많은 이들이 가족들에게도 사고 얘기를 꺼내지도 않았다고 함


사고 외에도 여러가지 이유가 복합적인 이유가 있겠지만 생존자 중 최소 11명이 자살로 삶을 마감했다고 함.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72,035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